호손효과 무엇인거 같나요? 당신은 당신 회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엇을 해봤나요?
일하는 사람들의 업무 성과를 올리기 위해, 컴퓨터를 바꿔 준다든가, 필기구를 바꿔 준다든가, 업무 시간을 바꿔 준다든가, 인센티브를 더 준다든가 여러가지를 해봤을 겁니다. 효과는 있었나요? 어떤 것은 효과가 있고 어떤 것은 효과가 없었을 것입니다. 또 어떤 것은 효과가 크고 어떤 것은 효과가 적었을 것입니다.
이런 변화들 대부분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경영자 입장에서 비용이 발생하면 꺼려하게 됩니다.
그런데 비용도 발생하지 않고 어떤 변화를 주지도 않으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호손효과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좋은 도구, 좋은 설비, 좋은 근무 환경이 아니라, 누군가 관찰하고 있다고 의식하는 것 이라는 이론이다. 다시 말해, 물리적 조건들이 좋아지면 생산성이 향상될 거 같지만, 물지적 조건과 상관 없이 누군가 자신을 관찰하고 있다는 심리적인 영향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론이다.
호손효과 유래
- 1924년 전화기 제조업체인 웨스턴 일렉트릭은 조명의 밝기가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하고 싶었다. 그래서 시카고 외곽에 위치한 호손 공장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 ‘조명이 밝으면 생산성이 올라가고 어두우면 생산성이 내려갈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 가설과 달리 조명이 밝기와 상관없이 생산성은 계속 상승했다.
- 작업자가 판단하기에 조명의 밝기가 어둡다고 생각될 때, 생산량의 상승은 멈췄다.
- 조명의 밝기와 생산성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결론을 내리고 연구는 끝났다.
- 하버드대 심리학과의 엘튼 메이요교수에게 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 메이요 팀은 조명이 아닌 다른 어떤 요인들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설을 세웠다.
- 1927년 ~1929년까지 동안 조명 이외에 수면시간, 수당,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조건을 바꿔가며 실험을 진행했다.
- 이 각각의 조건들에 변화를 줬을 때, 생산량은 상승했다. 즉, 수면시간을 줄이거나 늘리거나, 수당을 올리거나 낮추거나, 온도를 올리거나 낮추거나, 습도를 올리거나 낮추거나 모든 조건에서 생산량이 상승했다.
- 이런 조건들은 생산성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 물리적 환경이 아니라 종업원의 태도와 감정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
- ‘조명이 밝으면 생산성이 올라가고 어두우면 생산성이 내려갈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했을 때, 조명이 어두워도 생산성이 올라갔었다. 그래서 종업원 사이에 ‘우리는 선택된 사람들로 중요한 실험에 참가하고 있다.’라는 감정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세운다.
- 여러번의 실험 끝에, 노동자들은 연구자가 자신을 관찰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면 높은 생산성이 나타나는 결과가 나왔다.
호손효과 원인
첫 번째, 근로자가 속한 사회적 집단의 공통된 의식이나 문화가 생산성에 영향을 준다.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는 공동체 의식의 작용으로, 개개인이 좀 더 생산성을 높일 수밖에 없게 된다.
두 번째, 피드백이 생산성에 영향을 준다.
근로자들은 자신의 생산성 변화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었다. 한 주가 끝날 때마다 자신의 생산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서, 근로자의 무엇을 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마음이 생겼다.
세 번째, 사람들의 기대가 생산성에 영향을 준다.
실험자가 피험자를 중립적으로 대하려고 노력을해도 그의 열성 및 기대가 피험자에게 전달된다. 그러면 피험자는 무의식적으로 실험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호손효과 적용
당신의 사업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같이 일하는 각각의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기대를 하라. 그리고 그 기대를 표현하라. 그러면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당신의 자녀의 성적을 올리고 싶다면, 자녀에게 ‘공부해라!’, ‘이제 그만 놀아!’, ‘핸드폰 좀 그만해!’, ‘숙제는 다 했어!’ 라는 말 보다는, ‘너는 잘 할 수 있어’, ‘이번에 이렇게 하면 성적이 오르겠는 데’ 라는 긍정적인 말과 기대가 가득한 말을 해라. 그러면 호손효과에 의해 성적이 오를 수 있다.
함께 읽으면 돈 버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