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레토 법칙 당신은 20? 80?

 

한국외식산업진흥원 4부 “경험이 자산? 파레토의 법칙에서 배우는 80%의 함정”

파레토 법칙과 같은 사회적 딜레마의 뇌 속 메커니즘 밝혔다

아스날 경기에서 파레토 법칙을 발견하다

내 사업, 좌충우돌 말고 파레토 법칙을 찾아보자

파레토 법칙과 수도서울 절대 사수

파레토 법칙 유래

1896년에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인 조셉 주란이 파레토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 이름을 따와 파레토 법칙이라 이름 붙였다. 파레토는 자신의 정원에서 콩을 재배했다. 그런데 여기서 파레토는 키우던 콩의 콩깍지 중, 알이 들어 딴딴하게 잘 익은 소수의 콩깍지가 전체 콩알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파레토는 여기서 착안하여 거시경제학에 접목시켰다. ‘이탈리아 인구의 20%가 이탈리아 전체 부의 80%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런 현상에 대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후 1941년에 조셉 주란이 파레토의 연구 결과를 접하였다. 이를 품질관리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대중적으로 유명해졌다.

 

파레토 법칙이란?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가리킨다. ‘80:20 법칙’과 같은 말이다. 2 대 8 법칙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20%의 고객이 백화점 전체 매출의 80%에 해당하는 만큼 쇼핑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파레토 법칙를 사용한다. 또한 상위 20% 사람들이 전체 부(富)의 80%를 가지고 있다거나, 상위 20% 고객이 매출의 80%를 창출한다든가 하는 의미로 쓰이지만, 80과 20은 숫자 자체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체 성과의 대부분(80)이 몇 가지 소수의 요소(20)에 의존한다는 의미이다.

 

파레토 법칙 예시 1 – 개미와 꿀벌

파레토가 개미 집단의 행동 습성을 관찰했다 그러던 중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전체 개미의 20%만이 열심히 일을 하고 나머지 80%는 우물쭈물하며 빈둥거렸다. 파레토는 이런 현상에 흥미를 느끼고 “일을 열심히 하는 20%의 개미들만 추출하면 모두들 열심히 일을 하겠구나”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열심히 일한 20%의 개미만을 따로 모아 관찰했다. 이들도 처음에는 모두 열심히 일을 했다. 그러나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 중 20%만이 열심히 일하고 나머지 80%는 빈둥거리며 놀았다.

또 다시 파레토는 일을 열심히 한 개미들을 따로 분류했다. 이번에도 그들 개미 중에서 20%만 열심히 일을 했다. 나머지 80%는 빈둥거렸다. 그래서 파레토는 열심히 일하는 개미와 그렇지 않은 개미 숫자를 세어 보았더니 그 비율이 20%대 80%였다.

파레토는 이러한 20%대 80% 현상이 개미만의 특성인가 생각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꿀벌들을 가지고 똑 같은 실험을 반복했다. 그런데 꿀벌에 대한 실험에서도 개미처럼 20%대 80%의 실험 결과가 나왔다.

 

파레토 법칙 예시 2 – 하위 20% 소득 줄고 상위 20% 증가

하위 20% 의 소득이 대폭 줄고 상위 20%의 소득이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지난 해 3분기 도시에 사는 저소득층의 소득 감소 폭이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고소득층의 소득은 1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해 3분기 도시(읍·면을 제외한 동 단위) 2인 이상 가구 중 소득 하위 20% 이내 가구의 평균 소득은 143만원으로 1년 전보다 6.0%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2009년 3분기 7.8% 감소한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상위 20% 소득 증가 폭은 2015년 2분기 3.2% 증가한 이후 1년여 만에 최대다. 저소득층 소득의 감소는 소비지출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3분기 1분위 계층의 소비지출은 1년 전보다 1.9% 줄어든 128만원에 그쳤다. 하위 20% 소비지출 감소 폭은 5개 분위 계층 중 가장 큰 것이다.

하위 20% 소득은 지난해 1분기 6년여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3분기 연속 줄어들고 있다. 감소 폭도 2.6%(1분기), 4.7%(2분기) 등으로 점점 확대되는 추세다. 하위 20% 소득이 줄어들면서 전체 소득에서 비소비 지출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의 감소 폭도 점점 커지고 있다. 그렇다면 도시생활의 ‘빛과 그림자’가 극명해지는 셈이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베블런 효과 혹시 당신은 이것 때문에 지갑을 열고 있지 않은가?